본문 바로가기
728x90

몽고DB2

#3. MongoDB Model & Schema 만들기 MongoDB Model ? 어떤 웹사이트를 가서 회원가입을 하게 되면, 해당 정보들이 user data base에 들어가게 된다. 이때 유저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해 유저 모델, 유저 스키마를 만들게 된다. 여기서 모델은 스키마를 감싸주는 역할을 한다. Schema ? 스키마는 데이터 베이스 자료의 구조, 표현 방법, 관계를 정의한 것을 의미한다. 만약 상품에 관련된 글을 작성하게 된다면, 글을 작성한 사람이 누구인지, 포스트의 이름이 무엇인지, 포스트 이름의 타입은 무엇인지 ( ex, String ), 포스트의 maxlength 는 몇인지 지정해주는 것이다. 스키마 타입에는 String, Number, Date, Buffer, Boolean, Mixed, Objectid, Array가 있으며 직접 사용.. 2020. 11. 17.
#2. MongoDB 연결하기 몽고DB ( MongoDB ) ? 몽고디비는 NoSQL (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)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개념이 없다. 그 대신 몽고디비는 여러 데이터가 모인 하나의 단위를 컬렉션 ( Collection ) 이라고 한다. 몽고디비는 데이터 저장소를 가지고 있으며, 그 안에 여러개의 컬렉션을 넣을 수 있다. 즉, 데이터베이스는 컬렉션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다. 1. 문서지향 데이터베이스 2. 스키마가 없다 3. 스케일 아웃이 가능하다 4. 범용 데이터 베이스 5. 조인과 트랜잭션이 없다 6. 매우 고성능이다 7. 낮은 진입장벽 NoSQL ? 이 전에는 한정된 규모의 복잡성을 가진 데이터가 주를 이루어졌다면, 빅데이터 시대로 넘어가면서 점점 데이터의 형태가 단순해지고 대량의 규모로 넘어가고 잇다. .. 2020. 11. 16.
반응형